전체 글79 금융교육 보드게임 캐시플로우(무료게임방법,게임룰 등) 캐시플로우(CASHFLOW)란? 캐시플로우는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만든 보드게임으로 돈과 투자 교육에 대해 그가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캐쉬플로우는 모노폴리 같은 재산증식형 게임에 손익계산서와 재무제표를 접목한 게임으로, 다소 복잡하지만 그만큼 더 현실적이며 금융지식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다. 캐쉬플로우 플레이 경로 1. 보드게임 구매 공식 홈페이지나 아마존에서 판매하는 공식 영문판 보드게임을 구매할 수 있다. 영문판이 어려울 경우 국내 캐시플로우 강사협회라는 곳에서 출시한 한글 버전을 구매해 플레이할 수 있다. 한글 버전은 로버트 기요사키와 공식적인 계약이 된 버전은 아닌 것 같지만, 캐시플로우의 국내 특허가 소멸된 상태이기 때문에 저작권 침.. 2021. 10. 7. 인플레이션 이해2.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그리고 주식투자전략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1.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 자산 손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부동산과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는 상승하고 화폐의 가치는 하락한다. 즉, 내 월급은 그대로인데 아파트 가격만 상승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내가 받는 월급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300만 원으로 똑같다고 하더라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그 300만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서비스의 양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나의 월급의 가치는 이전에 비해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만약 내가 10년전에도 5억 원, 지금도 5억 원의 현금을 들고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10년 전으로 돌아간 2012년 광교의 한 아파트 가격을 기준으로 봤을 때, 10년 전 내가 5억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이 아파트 1.2채를 살 수 있었.. 2021. 10. 1. 인플레이션 이해1. 내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이유 인플레이션이란? 미국의 유명한 헤지펀드 매니저인 레이오 달리오는 2020 다보스 포럼에서 “현금은 쓰레기다(Cash Is Trash)”라는 말을 남겼었다. 그가 이렇게 말한 이유는 역사적으로 현금의 가치는 계속 하락해왔고 앞으로도 현금의 가치는 계속 하락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현금의 가치는 왜 계속 떨어지는 것일까? 현금 가치 하락의 요인이 되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인플레이션은 전반적인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즉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현상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을 체감하게 될 때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을 내뱉게 된다. 우리가 인플레이션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인플레이션 상황 속에서 내 자산을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물.. 2021. 10. 1. 흑자전환을 못한 성장주는 어떻게 평가하지? - 투자지표이해/PSR vs PER PSR(주가매출비율)이란? PSR(Price Sales Ratio), 즉 주가매출비율은 현재 주가를 1주당 매출액으로 나눈 지표이다. 매출액 대비 주가가 낮을수록 PSR이 낮아지고, 매출액 대비 주가가 높을수록 PSR이 높아진다. 따라서 PSR이 높을 경우 고 평가되었다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반대로 PSR이 낮은 경우 저 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매력도가 높아질 수 있다. PSR은 어떤 측면에서 PER을 보완할 수 있을까? 1. PSR은 PER 대비 조작이 어려운 지표이다. PER의 기준이 되는 순이익은 일시적 이익/손익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준 기간에 따라 PER 역시 크게 변동할 수 있다. 그러나 매출액은 회계 조작이 가장 어려운 지표이고, 갑자기 크게 늘거나 줄어.. 2021. 7. 8. PER가 높을수록 비싼주식인가요? - 투자지표이해/PER제대로 이해하기 PER(주가수익비율) 이해 PER는 주식 공부를 시작했다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봤을 만한 지표로 주식 가치 평가 시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지표 중 하나이다. PER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기업의 목표는 이익을 내는 것이기 때문에, 순이익을 많이 내는 기업일수록 가치가 높을 것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 PER는 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지표로, 주가가 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만약 연간 PER = 4라면, 현재 주당 순이익이 계속 유지될 경우 투자금(주가)을 회수하는데 4년이 걸린다는 것이다. 즉, PER가 높을수록 현재 주가만큼의 돈을 벌어들이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의미다. 따라서 PER가 높을수록 주식 가격이 비싸다(고평가)고 판단할 수 있으며.. 2021. 7. 8. 주가가 더 높으면 비싼 주식인가요? - 시가총액/발행주식수/주가 가끔 주당 가격을 기준으로 주가가 비싼지 싼 지를 가늠하는 친구들이 있다. 그러나 1주당 가격만 보고는 그 주식이 비싼 것인지, 싼 것인지 알 수 없다. 즉, 단순히 주가만 보고서는 삼성전자보다 LG전자가 비싸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다. 왜 그럴까? 기업의 시장가치는 시가총액을 통해 평가한다. 시가 총액은 그 종목의 ‘주가 X 발행주식수’로 계산된다. 따라서 시가총액이 같은 회사라도 발행주식수가 많으면 주당 가격이 낮아지고, 발행주식수가 적으면 주당 가격이 높아진다. 시가총액 = 주가 X 발행 주식 수 시가총액이 같은 회사라도 그 회사의 지분을 얼마나 분할했는지(=발행주식수)에 따라 주당 가격은 달라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가총액과 발행 주식수가 모두 다른 상태에서 주당 가격만 보고 어떤 주식이 .. 2021. 7. 8.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