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P2 연금 투자 기초 공부(1) - ETF 상품명의 의미(feat. TIGER 미국나스닥100 TR(H)란?) DC형과 IRP형 퇴직연금, 개인연금에서 투자 가능한 주식형 상품은 크게 펀드와 ETF가 있다. 연금투자를 마음먹었다면 펀드 대비 운용보수가 낮은 ETF 상품에 대한 공부는 필수다. 오늘 정리할 내용은 가장 기본적인 ETF 상품명 해석하기이다.ETF의 상품명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가지고 만들어지기 때문에, ETF의 이름만 봐도 해당 상품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알 수 있다. 하나씩 알아보자. 운용사 브랜드 ETF 상품명의 첫 부분은 브랜드를 나타낸다. 대표적인 운용사와 브랜드는 아래와 같다.운용사명ETF 브랜드삼성자산운용KODEX미래에셋자산운용TIGERKB자산운용KBSTAR한국투자신탁운용ACE한화자산운용ARIRANG 투자지역 및 추종하는 기초 지수 국내가 아닌 해외 증시에 투자하는 ETF일 경우, .. 2024. 7. 12. 경제 왕초보도 이해할 수 있는 퇴직연금 설명 - 각 유형(DC,DB,IRP) 별 특징과 나에게 유리한 제도 알아보기 자동목차 나는 지금까지 3년간 내 IRP 계좌에 있던 이전 회사의 퇴직 연금을 잠재워왔다. 최근에 그게 얼마나 멍청한 짓이었던지 깨닫고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쓰는 참회의 포스팅. 나와 비슷한 실수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하루라도 빨리 '내 연금 구하기'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를 바란다. 퇴직연금의 유형 먼저 퇴직연금의 유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퇴직연금 확정급여형(DB), 확정기여형(DC), 개인형 퇴직연금(IRP)가 있다. 확정급여형(DB)과 확정기여형(DC)은 회사에서 가입하는 연금제도이다. 즉, 연금부담 주체가 회사이다. 반면 IRP는 회사에서 쌓아주는 연금과 별개로 개인이 은퇴자금을 준비하는 계좌이다. 따라서 회사에 재직 중일 때는 확정급여형(DB) or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에 .. 2024. 5. 2. 이전 1 다음